근무시간 계산기

파트타임/알바 근무시간과 주급/월급을 쉽게 계산해보세요

정확한 급여 계산을 위한 필수 도구

📊 근무시간 계산기란?

근무시간 계산기는 아르바이트생, 파트타임 근로자, 프리랜서 등 시간제 근무자들을 위한 필수 도구입니다. 복잡한 근로기준법 상의 각종 수당 계산을 자동화하여, 정확한 급여를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특히 2025년 최저시급 10,030원을 기준으로, 야간근무수당(22시~06시), 주휴수당, 연장근로수당 등 법정 가산수당을 모두 반영하여 계산합니다. 이를 통해 근로자는 자신의 정당한 급여를 확인하고, 고용주는 인건비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습니다.

💡 알아두면 좋은 정보

주 15시간 이상 근무

4대보험, 주휴수당, 연차휴가 등 법정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야간근무 (22시~06시)

야간수당으로 기본 시급의 50%를 추가로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.

주휴수당

주 15시간 이상 + 개근 시 하루치 임금을 추가로 받습니다.

공휴일 가산수당

신정, 설날, 추석 등 법정공휴일 근무 시 50% 가산수당 (별도 계산 필요)

연장근로수당

주 40시간 초과 근무 시 50% 가산수당이 자동 계산됩니다.

✨ 이 계산기는 위의 모든 법정 수당을 자동으로 계산해드립니다!

📖 사용 방법 가이드

Step 1: 일괄 근무시간 설정

평일, 토요일, 일요일의 근무시간을 한 번에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  • 평일(월~금): 대부분의 정규 근무 패턴 설정
  • 토요일: 주말 근무 시간 설정 (가산수당 선택 가능)
  • 일요일: 휴일 근무 시간 설정 (가산수당 선택 가능)

Step 2: 개별 요일 세부 조정

특정 요일의 근무시간이 다른 경우 개별적으로 조정하세요.

  • 체크박스로 근무 여부 선택
  • 시작/종료 시각 입력 (24시간 형식)
  • 자정을 넘는 근무도 자동 계산

Step 3: 시급 및 가산수당 설정

기본 시급과 받을 수 있는 가산수당을 설정하세요.

  • 기본 시급 입력 (2025년 최저시급: 10,030원)
  • 야간근무 가산 (22시~06시, 50% 추가)
  • 토요일 근무 가산 (50% 추가, 선택 가능)
  • 일요일 근무 가산 (50% 추가, 선택 가능)
  • 연장근로 가산 (주 40시간 초과분, 50% 추가)

Step 4: 결과 확인

자동으로 계산된 주급과 월급을 확인하세요.

  • 주간 총 근무시간 및 세부 내역
  • 기본급 + 각종 가산수당 상세 내역
  • 예상 월급 (주급 × 4.33주)

일괄 근무시간 설정

평일, 토요일, 일요일을 한 번에 설정할 수 있습니다

평일 (월~금)

토요일

일요일

요일별 근무시간 세부 조정

개별 요일의 근무시간을 세부적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

시급 및 가산수당 설정

시급과 가산수당 옵션을 설정하세요

※ 2025년 최저시급: 10,030원

⚠️ 공휴일 근무 주의사항

• 이 계산기는 일정한 요일 패턴으로 근무하는 경우만 계산합니다.

공휴일 근무 (신정, 설날, 추석, 임시공휴일 등)시에는 별도로 50% 가산수당을 계산해주세요!

공휴일 급여 계산 예시:

신정(월요일) 8시간 근무 → 기본급(80,240원) + 공휴일수당(40,120원) = 120,360원

계산 결과

주급 = 주간 총 급여 / 월급 = 주급 × 4.33주

주간 근무시간

0

시간

주급 (총액)

0

기본급 + 가산수당 합계

월급 (예상)

0

주급 × 4.33주 (한달 평균)

🧮 계산 공식 및 법적 근거

기본 급여 계산

기본급 = 근무시간 × 시급

예: 8시간 × 10,030원 = 80,240원

야간근무수당 (근로기준법 제56조)

야간수당 = 야간근무시간(22시~06시) × 시급 × 0.5

예: 4시간 × 10,030원 × 0.5 = 20,060원 추가

💡 야간근무는 기본급 + 50% 가산수당을 받습니다

휴일근무수당 (근로기준법 제56조)

휴일수당 = 휴일근무시간 × 시급 × 0.5

예: 일요일 8시간 × 10,030원 × 0.5 = 40,120원 추가

💡 일요일과 공휴일 근무는 50% 가산됩니다

연장근로수당 (근로기준법 제56조)

연장수당 = (주 근무시간 - 40시간) × 시급 × 0.5

예: 초과 5시간 × 10,030원 × 0.5 = 25,075원 추가

💡 주 40시간 초과 근무는 50% 가산됩니다

주휴수당 (근로기준법 제55조)

주휴수당 = 1일 평균임금 × 1일

조건: 주 15시간 이상 근무 + 개근

💡 주 15시간 이상 근무자는 유급 주휴일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

💼 실제 활용 예시

Case 1 편의점 야간 아르바이트

근무 조건

  • • 월, 수, 금: 22:00 ~ 06:00 (8시간)
  • • 시급: 10,030원
  • • 야간근무수당 적용

급여 계산

  • • 기본급: 240,720원
  • • 야간수당: 120,360원
  • 주급 합계: 361,080원
  • 예상 월급: 1,563,476원

Case 2 카페 주말 파트타이머

근무 조건

  • • 토요일: 09:00 ~ 18:00 (9시간)
  • • 일요일: 09:00 ~ 18:00 (9시간)
  • • 시급: 11,000원
  • • 일요일 가산수당 적용

급여 계산

  • • 토요일: 99,000원
  • • 일요일 기본: 99,000원
  • • 일요일 가산: 49,500원
  • 주급 합계: 247,500원
  • 예상 월급: 1,071,675원

Case 3 물류센터 풀타임 계약직

근무 조건

  • • 월~금: 08:00 ~ 18:00 (9시간, 점심 1시간)
  • • 토요일: 08:00 ~ 13:00 (5시간, 가산수당 미적용)
  • • 시급: 10,500원
  • • 주 45시간 → 연장수당 발생

급여 계산

  • • 기본급 (45시간): 472,500원
  • • 연장수당 (5시간): 26,250원
  • 주급 합계: 498,750원
  • 예상 월급: 2,159,587원

Case 4 학원 시간제 강사

근무 조건

  • • 월, 수: 16:00 ~ 21:00 (5시간)
  • • 화, 목: 18:00 ~ 22:00 (4시간)
  • • 시급: 25,000원
  • • 주 18시간 근무

급여 계산

  • • 월, 수: 250,000원
  • • 화, 목: 200,000원
  • 주급 합계: 450,000원
  • 예상 월급: 1,948,500원
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9시부터 6시까지 일하면 몇 시간인가요?

9시부터 18시(오후 6시)까지는 총 9시간입니다. 여기서 법정 휴게시간 1시간을 제외하면 실근무시간은 8시간이 됩니다.

Q2. 야간근무 수당은 어떻게 계산되나요?

야간근무(22시~06시) 시간에는 기본 시급의 50%를 가산수당으로 받습니다. 예를 들어 시급 10,030원인 경우, 야간 1시간당 15,045원(10,030원 + 5,015원)을 받게 됩니다.

Q3. 주휴수당은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
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,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경우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주휴수당은 하루 평균임금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.

Q4. 연장근로수당은 언제 발생하나요?

1주 40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한 경우, 초과 시간에 대해 통상임금의 50%를 가산하여 지급받습니다.

Q5. 공휴일에 일하면 수당이 어떻게 되나요?

법정공휴일(신정, 설날, 추석 등)에 근무하면 휴일근로수당으로 기본급의 50%를 추가로 받습니다. 5인 이상 사업장에 적용됩니다.

Q6. 최저시급보다 적게 받고 있다면?

2025년 최저시급은 10,030원입니다. 이보다 적게 받고 있다면 근로기준법 위반이므로 고용노동부 신고센터(☎1350)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.

Q7. 4대보험은 언제부터 가입되나요?

월 60시간 이상 또는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4대보험(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) 가입 대상입니다.

Q8. 휴게시간은 급여에 포함되나요?

휴게시간은 근로시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무급입니다. 4시간 근무 시 30분, 8시간 근무 시 1시간의 휴게시간이 의무입니다.

Q9. 수습기간 중 최저시급은?

수습 3개월 동안은 최저시급의 90%(9,027원)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. 단, 1년 미만 계약직은 수습 감액이 불가능합니다.

Q10. 퇴직금은 언제 받을 수 있나요?

1년 이상 계속 근무하고 주 평균 15시간 이상 일한 경우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 퇴직금은 평균임금 × 근속연수입니다.

Q11. 연차휴가는 어떻게 발생하나요?

1년간 80% 이상 출근 시 15일의 유급휴가가 발생합니다. 1년 미만 근무자는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Q12. 근로계약서는 꼭 작성해야 하나요?

네, 근로계약서는 법적 의무사항입니다. 임금, 근로시간, 휴일, 연차 등 근로조건을 명시한 서면 계약서를 작성하고 1부를 보관해야 합니다.

📚 참고 자료 및 유용한 링크

상담 및 지원

📞 고용노동부 상담센터: 1350 (평일 09:00~18:00)
📞 근로복지공단: 1588-0075
📞 노무법인 무료상담: 지역별 노동청 문의

⚠️ 면책 조항: 이 계산기는 참고용이며, 실제 급여는 회사 규정과 근로계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정확한 급여 계산은 회사 담당자나 노무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.

최종 업데이트: 2025년 8월 30일 (최저시급 10,030원 기준)